③ 우리 명절에는 어떤 수수께끼가 담겨 있을까?

③ 우리 명절에는 어떤 수수께끼가 담겨 있을까?3권
브랜드
장르
교양글/그림작가
정재은 / 김정진가격
7,000원완결여부
완결발행일
2017-07-31판매처
작품정보
<안녕 자두야 수수께끼랑 놀자> 시리즈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 놓은 유·무형의 문화유산들을 수수께끼 형식을 빌려 다채로운 이야기 속에 쉽고 생생하게 담았습니다.
▣ 책 소개
신나게 놀고 먹고 즐겼던 우리 고유의 명절에 관한 모든 것!
명절은 어떤 날일까요? 단순히 온 가족이 모이는 날, 쉬는 날, 용돈을 받아 기분 좋은 날일까요? 그럼 대보름, 단오, 동지처럼 쉬지 않는 날은 명절이 아닐까요?
명절은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해마다 소중하게 지켜서 기념하던 날이에요. 그래서 계절에 맞는 음식을 해 먹고 재미난 놀이를 하며 즐기던 날이지요.
우리나라 4대 명절인 설날, 한식, 단오, 추석은 물론 나쁜 기운을 몰아내는 정월 대보름,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삼짇날, 머슴들이 좋아했던 백중날, 양반들이 국화주를 마시는 중양절과 섣달그믐까지 우리 민족이 특별난 날로 정한 고유의 명절을 수수께끼 형식을 빌어 다채로운 이야기 속에 쉽고 생생하게 담았습니다.
▣ 차례
1 설날_떡국 먹고 나이도 먹는 날은? 세뱃돈 대작전
2 대보름_더위를 사고파는 날은? 온 가족 더위를 산 자두
3 삼짇날_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은? 자두 가족의 화전놀이
4 한식_부자도 찬밥 먹는 날은? 개자추를 기라며 찬밥 먹기
5 초파일_연등으로 예쁘게 장식하는 날은? 어린이들이 더 신나는 초파일
6 단오_춘향이와 이 도령이 만난 날은? 창포물에 머리 감고 춘향이 따라 잡기
7 유두_흐르는 물에 머리 감는 날은? 유두 물맞이로 더위 물리치기
8 칠석_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은? 칠석에 비가 오는 이유
9 백중_머슴들이 제일 좋아하는 명절은? 하필이면 백중에!
10 추석_일 년 중 먹을 것이 제일 많은 날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 같아라
11 중양절_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술을 마시는 날은? 자두 아빠가 중양절에 산에 가는 이유
12 동지_우리 집 대문이 팥죽 먹는 날은? 기나긴 동짓날 밤 공포 파티
13 섣달그믐_아무리 졸려도 꼬박 밤을 새야 하는 날은? 작은 설날 묵은세배
찾아보기
▣ 책 속으로
“아니거든. 내가 먹기 대장이거든. 내가 일등이라고.”
“지금 당장 겨뤄 보고 싶다만 먹을 게 없네.”
“내가 가져 올게. 자두 너, 여기서 딱 기다려. 심판도 불러 올 거야.”
돌돌이는 쏜살같이 집으로 달려가 송편을 한가득 싸 왔어요. 심판으로 민지, 은희, 윤석이도 불러왔어요. 친구들도 모두 먹을 것을 듬뿍 싸 왔어요.
“먹기 대장 뽑기 시합 시작!”
첫 번째 음식은 솔잎을 넣고 찐 향긋한 송편이에요. 자두는 침을 질질 흘리며 송편을 먹어 치웠어요. 돌돌이도 열심히 먹었지만 자두가 조금 빨랐어요.
“다음은 과일이야.”
역시 추석에는 햇과일이죠. 자두와 돌돌이는 윤석이가 가져온 사과와 배를 껍질째 후딱 먹어 치웠어요. 이번 경기는 돌돌이의 승리였어요.
마지막 대결 음식은 토란국! 추석 음식이지만 자두와 돌돌이 모두 싫어하는 것이었지요.
“돌돌아, 넌 이거 못 먹겠지? 역시 먹기 대장은 바로 이 최자두 님…….”
그 순간 돌돌이가 토란국을 들고 벌컥벌컥 마셨어요.
“내가 졌다, 김선돌. 너를 우리 학교 먹기 대장으로 임명한다.”
자두는 보름달만큼 나온 배를 두드리며 집으로 돌아가면서 생각했어요.
“이제야 추석 같군. 역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같아라’라는 말이 딱 맞아.”
▣ 출판사 리뷰
아이들에게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를 깨우쳐 줍니다!
〈안녕 자두야 수수께끼랑 놀자〉 시리즈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 놓은 유·무형의 문화유산들을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수께끼 안에 담아냈습니다. 수수께끼에서 유발된 우리것에 대한 흥미는 오늘을 사는 우리 아이들에게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이 시리즈는 계속해서 우리 문화유산, 전통 과학, 명절, 세계 문화유산 등의 주제로 어린이 여러분을 찾아갈 것입니다.
작가소개
글을 쓴 정재은 선생님은 광주에서 태어나 대학에서 역사와 글쓰기를 공부했습니다. 작품집으로는 《우리 역사를 그린 9가지 지도 이야기》 《얼씨구 지화자 즐거운 전통 놀이》 《자연의 빛깔을 담은 우리 옷과 장신구》 《철학의 원리를 사고파는 철학 상점》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