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트 베어스
작품정보
“인간과 곰의 애증후박(愛憎厚薄)을 이처럼 절절하게 그려낸 책은 없었다.”
_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
★ 최재천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정세랑 소설가 추천 ★
★ 최태규 수의사, 곰보금자리프로젝트 대표 추천 ★
★ 〈뉴요커〉, 〈이코노미스트〉 선정 2023 최고의 책 ★
★ 〈NPR〉, 〈사이언스 뉴스〉 선정 2023 가장 사랑한 책 ★
★ 〈가디언〉, 〈커커스 리뷰〉 강력 추천 도서 ★
멸종의 길을 향해 걸어가는 전 세계 여덟 종의 곰들
이들이 직면한 위험은 무엇이며 생존이란 희망은 존재하는가
쑥 한 줌과 마늘 스무 개를 먹으며 동굴에서 100일을 버텨 인간 여인으로 변한 단군 신화 속 ‘웅녀’, 순결을 지키지 못했다는 벌로 곰의 모습으로 변해버린 그리스 신화 속 숲의 요정 님프 ‘칼리스토’, 모글리의 스승 역할을 자처하며 어린 동물에게 정글의 법칙을 가르쳐주던 《정글북》 속 인자한 불곰 ‘발루’, 꿀을 가장 좋아하는 매사에 긍정적인 성격의 곰돌이 ‘푸’, 파란 더플코트를 말쑥하게 차려입고 빨간 모자를 쓰고서는 작은 갈색 가방을 손에 쥔 채 패딩턴 역사를 돌아다니던 꼬마 곰 ‘패딩턴’.
이처럼 곰은 토착 설화와 신화에서부터 19세기 동화나 소설, 현대의 애니메이션과 영화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집단 기억에서 늘 중심의 자리를 지켜왔다. 종에 따라 성별에 따라 천차만별이겠지만 몸무게가 최대 800킬로그램에 달하기도 하고, 그 키만 2.5미터를 능가하며, 거슬리기만 하면 말 그대로 사람을 찢는 이 무시무시한 존재를 향해 우리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존재라며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우리가 이 세상에 태어나 다양한 매체를 통해 처음 접한 동물의 형상이 대개 곰이고, 인격 형성기인 유아기에 머리맡을 지켜주던 친구가 곰인 경우가 많았으며, 유년기 시절 잠자리에서 부모님이 읽어주던 동화 속 주인공이 곰이었던 기억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아주 어릴 때부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곰에게 엉뚱한 매력을 불어넣으며 복잡하고 깊은 관계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영원히 사랑만 받을 것 같던 곰들에게도 위기가 찾아왔다. 기후 위기로 서식지를 잃은 곰들이 도시를 향해 서식 범위를 넓히면서 인간과의 충돌이 급증했다. 우리는 갑작스레 이웃이 되어버린 곰과 어떻게 그리고 왜 공존해야 하는지 도통 갈피를 잡지 못했고, 생사의 기로에 선 곰들은 인간에게 위협을 가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피해를 입히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는 등 최악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기후 변화와 인구 증가, 서식지 소실, 먹이 부족, 종국에는 멸종이라는 문제에 부딪혀 인간과의 갈등이 불가피해진 곰들과 이들을 향해 총을 겨눌 수밖에 없는 우리. 이 위태로운 상황에서 벗어나 서로가 함께 공존과 공생의 길로 나아갈 방법은 진정 없는 것일까?